MY MENU

러시아

본 기사 번역 제공은 <한양대학교 HK 러시아 유라시아 연구사업단>이 러시아 및 유라시아 지역의 주요 헤드라인 뉴스들을 정리, 번역하여 매주 국가별로 원문과 함께 제공하는 ‘주간뉴스 번역서비스’이다. 2010년 7월 20일 제 1호가 나온 이후 지금에 이르며, 본 기사번역 제공서비스가 포괄하는 국가에는 러시아연방을 비롯하여,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몰도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조지아 등 12개 국가이다. 이들 12개국에서 벌어지는 생생한 최신뉴스를 엄선하여 번역하고 원문링크와 함께 배포하는 본 서비스는 이제 관련 전문가들은 물론이고, 학생들에게도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지난 1990년 「월간북방동향」으로 창간하여 1997년 「아태지역동향」으로 제호를 변경한 이래 2006년 2월호까지 발간되었다. 본지는 월간 발행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게재되는 내용은 본 아태지역연구센터에서 매월 개최하고 있는 중국, 러시아, 북한, 미국, 일본 5개국의 정치/경제/사회 동향 및 초점분석에 대한 월례보고회의 결과물들이다.

『JAPA(Journal of Asia-Pacific Affairs』는 본 연구센터의 확대개편에 따라 연구영역의 확장을 꾀하고자 발간된 영문 학술잡지로서 지난 1999년 8월 창간호가 발행되었다. 본 학술잡지는 연 2회 발행되어 아시아-태평양지역 주요 국가들에 대한 연구성과를 게재하였는데, 2006년 7월호(v.7, n.7) 이후 발간이 중단되었다.

「亞太쟁점과 연구」 (Contemporary Asia-Pacific Studies)는 월간 「아태지역동향」을 확대, 발전시켜 2006년 4월에 그 창간호가 나온 계간지이다. 본 연구지는 아태지역연구센터의 내 · 외부 연구진들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안 쟁점들을 논의하는 워크숍에서 발표된 연구논문 working paper를 묶어 계간으로 발간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2007년 겨울 (제 2권, 4호, 통권 8호)를 마지막으로 발간이 중단되었다.

러시아

러시아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Russian Federation

국가개요 Overview

개요

12세기에 등장한 모스크바 공국은 200여 년에 걸친 몽골의 지배(13-15세기)에서 벗어나 점차 주변의 공국을 정복하고 흡수해 나갔다. 17세기 초 새로 등장한 로마노프 왕조는 이러한 팽창정책을 계속하여 시베리아에서 태평양에 이르기까지 세력권을 확장했다. 표트르 1세(1682-1725년) 치하에서는 발트 해로 패권을 확대하여 국명을 러시아 제국으로 바꾸었다. 19세기 동안에는 유럽과 아시아에서 더욱 많은 영토 확장이 이루어졌다. 1904-1905년 러일전쟁에서의 패배는 1905년의 혁명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 혁명으로 의회의 결성을 비롯한 여러 가지 개혁이 실시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러시아 군대가 계속하여 철저한 패전을 겪음에 따라 러시아 제국의 주요 도시에서 폭동이 광범하게 발생하였으며, 마침내 1917년의 혁명으로 제국주의 황실을 전복시키기에 이르렀다. 뒤이어 레닌 하에서 권력을 장악한 공산주의자들은 소연방(USSR)을 결성했다. 스탈린의 강압적인 지배(1928-53년)는 수천만 명의 목숨을 희생시키면서 공산주의 지배와 러시아의 소연방 지배를 강화시켰다. 그 다음 30여 년 동안 소연방의 경제와 사회는 정체상태에 빠졌는데, 이러한 정체상태는 고르바초프 서기장이 공산주의를 현대화시키려는 의도로 글라스노스트(openness)와 페레스트로이카(restructuring)을 도입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고르바초프의 개혁정책은 의도치 않게 세력의 분산을 야기하여 1991년 12월 소연방은 러시아와 15개 독립공화국으로 분리되었다. 그 이래 러시아는 탈 소비에트 민주주의를 실현하려는 야심으로 중앙집권적인 준 권위주의 국가를 건설하려 하였는데, 이에 대한 정당성은 신중하게 관리되는 전국적인 선거와 전직 대통령 푸틴의 식지 않는 인기, 그리고 러시아의 행운이라 할 수 있는 에너지 자원의 신중한 관리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탱되고 있다. 러시아는 체첸 분리주의 운동을 가혹한 방법으로 진압하였으나, 북 카프카스 전역에서는 여전히 무력충돌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지리 Geography

지리적 위치

북부 아시아(우랄 서쪽지역은 유럽에 속함), 북극에 접하면서 유럽과 북태평양 사이에 위치

지리학상의 좌표

북위 60도, 동경 100도

면적

전체 면적: 17,098,242km2
육지: 16,377,742km2
강, 호수: 720,500km2
세계 1위

면적-한국과의 비교

한반도 면적(219,010km2)의 약 78배

국경

총 연장: 22,407km
접경 국가: 아제르바이잔 338km, 벨로루시 1,312km, 중국(남동부) 4,133km, 중국(남부) 46km, 에스토니아 324km, 핀란드 1,309km, 그루지야 894km, 카자흐스탄 7,644km, 북한 18km, 라트비아 332km, 리투아니아(칼리닌그라드 주) 261km, 몽골 3,452km, 노르웨이 191km, 폴란드(칼리닌그라드 주) 209km, 우크라이나 1,944km

해안선

37,653km

해상청구권(maritime claims)

영해: 12해리
접속수역(contiguous zone): 24해리
배타적 경제수역: 200해리
대륙붕: 수심 200m 이내 혹은 개발 수심

기후

남부에는 스텝 지대가 펼쳐져 있고 유럽-러시아 대부분 지역은 습한 대륙성 기후를 보임. 시베리아는 북극권에 접하며 북극에서는 툰드라 기후를 보임. 겨울에는 흑해 해안의 선선한 날씨에서부터 시베리아의 혹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후가 나타남. 여름에는 스텝 지대의 따뜻한 날씨에서 북극지방의 선선한 날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후를 보임.

지형

우랄 서쪽은 넓은 평원과 낮은 구릉지대로 이루어져 있고, 시베리아 지역은 방대한 침엽수림 및 툰드라 지대를 보이며, 남쪽 국경지역을 따라 산악지대를 형성하고 있음.

고도차이

최저도: 카스피 해 -28m
최고도: 엘브루스 산 5,633m

천연자원

석유, 천연가스, 석탄, 다수의 주요 광물 및 목재를 비롯하여 광대한 천연자원의 생산기지를 형성
참고: 기후, 지형, 거리 등 중대한 장애가 천연자원의 개발을 방해함.

토지이용도

경작가능지: 7.11%
영구곡물재배지: 0.1%
기타: 92.79% (2011년)

관개면적

43,460km2 (2008년)

가용 수자원

4,508km3 (2011년)

민물 취수(가정/산업/농업용)

연간 총량: 66.2km3 (20%/60%/20%)
연간 1인당: 454.9m3(2001년)

자연재해

시베리아의 영구동토층 대부분은 발전을 가로막는 중대한 장애물. 쿠릴 열도의 화산활동. 캄차카 반도의 화산과 지진. 봄철의 홍수와 여름/가을에 시베리아 전역과 유럽-러시아 일부에서 발생하는 산불

환경문제

중공업으로 인한 대기오염, 석탄을 이용한 발전에 따른 배출가스, 주요 도시의 교통수단. 각 지방의 산업발전에 따른 내륙수로 및 해안의 오염. 벌목. 토양침식. 농업용 화학비료의 오용으로 인한 토양오염. 때때로 극심한 방사능 오염 지역이 산재. 유독성 폐기물로 인한 지하수 오염. 도시의 고체 쓰레기 처리. 오래되어 버려진 살충제 폐기물.

환경-국제협약

가입 협약: 대기오염협약, 대기오염-질소산화물 협약, 대기오염-황85협약, 남극환경의정서, 남극해양생물자원협약, 남극보호협약, 남극협정, 생물다양성협약, 기후변화협약, 기후변화-교토의정서, 사막화방지협약, 멸종위기의 품종보호협약, 환경변화협약, 위험폐기물협약, 해양법협약, 해상무단투기협약, 오존층보호협약, 선박오염협약, 열대삼림83협약, 습지보호협약, 포경제한협약.
서명했으나 비준하지 않은 협약: 대기오염-황94협약

지리-참고

세계 최대의 면적을 가지고 있지만 해양항로 면에서는 불리한 위치. 넓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많은 지역은 농업에 적합한 토양과 기후를 갖추고 있지 못함(너무 춥거나 너무 건조). 엘브루스 산은 유럽의 최고봉.

인구 Population

인구수

142,470,272명 (2014년 7월 추정치)

연령구조

0-14세: 16.4% (남자: 11,980,138명/여자: 11,344,818명)
15-24세: 10.7% (남자 7,828,947명/여자: 7,482,143명)
25-54세: 45.8% (남자: 31,928,886명/여자: 33,319,671명)
55-64세: 13.8% (남자: 8,408,637명/여자: 11,287,153명
65세 이상: 13.1% (남자: 5,783,983명/여자: 13,105,896명)

중간연령

전체: 38.9세
남자: 36세
여자: 41.9세 (2014년 추정치)

인구증가율

-0.03% (2014년 추정치)

출생률

인구 1,000명 당 11.87명 출생 (2014년 추정치)

사망률

인구 1,000명 당 13.83명 사망 (2014년 추정치)

순 이민율

인구 1,000명 당 1.69명 이민(나감) (2014년 추정치)

도시화 수준

도시인구 비율: 총 인구의 73.8% (2011년)
도시화 비율: 연간 0.13% 증가 (2010-2015년 추정치)

남녀 성비

출생시: 남자/여자 = 1.06
0-14세: 남자/여자 = 1.06
15-24세: 남자/여자 = 1.05
25-54세: 남자/여자 = 0.96
55-64세: 남자/여자 = 0.86
65세 이상: 남자/여자 = 0.44
전체 인구: 남자/여자 = 0.86 (2014년 추정치)

영아 사망률

전체: 1,000명 출생시 7.08명 사망
남자: 1,000명 출생시 7.93명 사망
여자: 1,000명 출생시 6.18명 사망 (2014년 추정치)

출생시 기대수명

전체: 70.16세
남자: 64.37세
여자: 76.3세 (2014년 추정치)

출산율

가임여성 1명 당 1.61명 출산 (2014년 추정치)

HIV/AIDS - 성인 발병율

1% (2009년 추정치)

HIV/AIDS - 보균자수

980,000명 (2009년 추정치)

HIV/AIDS - 사망자수

NA

전염성 질병

위험 등급: 중간
음식 및 수인성 질병: 세균성 설사
백터 질병(vectorborne disease): 진드기 매개 바이러스 뇌염
참고: 병원성이 높은 H5N1 조류 인플루엔자가 동 국가에서 발견되었다. 이 질병은 조류와 가까이 접촉한 미국 시민들 사이에서 극히 드물게 발병하며 무시할 만한 수준의 위험. (2013년)

국적(nationality)

명사: Russian(s)
형용사: Russian

민족구성

러시아인 77.7%, 타타르인 3.7%, 우크라이나인 1.4%, 바슈키르인 1.1%, 추바시인 1%, 체첸인: 1%, 기타: 10.2%, 불특정인: 3.9%
참고: 190개 이상의 인종이 2010년 러시아 인구조사에 포함되어 있음. (2010년 추정치)

종교

러시아정교 15-20%, 무슬림 10-15%, 기타 기독교 2% (2006년 추정치)
참고: 추정치는 예배에 참석하는 신자의 수치. 러시아는 70년 이상의 소비에트 지배의 유산으로 예배에 참석하지 않는 신자와 비신자의 숫자가 많음

언어

러시아어 (공식언어): 96.3%, 돌간어: 5.3%, 독일어: 1.5%, 체첸어: 1%, 타타르어: 3%, 기타: 10.3%
참고: 100% 초과하는 이유는 조사 대상자가 한 가지 이상의 언어로 대답했기 때문. (2010년 추정치)

문자해독률(문맹퇴치율)

정의: 15세 이상의 인구 중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의 비율
전체 인구: 99.7%
남자: 99.7%
여자: 99.6% (2010년 추정치)

교육기간(초등-대학)

총: 14년
남자: 14년
여자: 15년 (2009년)

교육비 지출

GDP 대비 4.1% (2008년)

정부·정치 Government·Politics

국명

일반 정식명칭: 러시아연방
일반 약칭: 러시아
현지 정식명칭: Rossiyskaya Federatsiya
현지 약칭: Rossiya
이전 명칭: 러시아제국(Russian Empire), 러시아소비에트연방사회주의공화국(Russian Soviet Federative Socialist Republic)

정부형태

연방국가

수도

명칭: 모스크바(Moscow)
지리적 좌표: 북위 55.45도, 동경 37.35도
시차: UTC+3 (서울 기준 -5시간)
섬머타임: +1시간, 3월 마지막 일요일에 시작. 10월 마지막 일요일에 종료
참고: 러시아는 11개의 시간대로 나누어짐.

행정구역

46개 주(oblast'), 22개 공화국(respublika), 4개 자치관구(avtonomnyy okrug), 9개 변경주(kray), 3개 연방시(gorod), 1개 자치주(avtonomnaya oblast').
주: 아무르 주(블라고베셴스크), 아르한겔스크 주, 아스트라한 주, 벨고로드 주, 브랸스크 주, 첼랴빈스크 주, 이르쿠츠크 주, 이바노보 주, 칼리닌그라드 주, 칼루가 주, 케메로보 주, 키로프 주, 코스트로마 주, 쿠르간 주, 쿠르스크 주, 레닌그라드 주, 리페츠크 주, 마가단 주, 모스크바 주, 무르만스크 주, 니즈니노브고로드 주, 노브고로드 주, 노보시비르스크 주, 옴스크 주, 오렌부르크 주, 오렐 주, 펜자 주, 프스코프 주, 로스토프 주, 랴잔 주, 사할린 주(유즈노-사할린스크), 사마라 주, 사라토프 주, 스몰렌스크 주, 스베르들롭스크 주(예카테린부르크), 탐보프 주, 톰스크 주, 툴라 주, 트베르 주, 튜멘 주, 울랴놉스크 주, 블라디미르 주, 볼고그라드 주, 볼로그다 주, 보로네쥬 주, 야로슬라블 주
공화국: 아디게야 공화국(마이코프), 알타이 공화국(고르노-알타이스크),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우파), 부랴티야 공화국(울란-우데), 체첸 공화국(그로즈니), 츄바쉬야 공화국(체복사리), 다게스탄 공화국(마하취칼라), 잉구슈 공화국(마가스), 카바르디노-바이카리야 공화국(날치크), 칼미키야 공화국(엘리스타),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체르케시크), 카렐리야 공화국 (페트로자보드스크), 하카시야 공화국(아바칸), 코미 공화국(식티프카르), 마리-엘 공화국(요쉬카르-올라), 모르도비야 공화국(사란스크), 북오세티야 공화국(블라디카프카스), 사하[야쿠티야] 공화국(야쿠츠크), 타타르스탄 공화국(카잔), 티바 공화국(키질), 우드무르티야 공화국(이젭스크), 크림 공화국
자치관구: 추코트카 자치관구(아나디르), 한티-만시 자치관구(한티-만시스크), 네네츠(나랸-마르), 야말로-네네츠 자치관구(살레하르트)
변경주: 알타이 변경주(바르나울), 캄차트카 변경주(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트스키), 하바롭스크 변경주, 크라스노다르 변경주,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페름 변경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블라디보스톡), 스타브로폴 변경주, 자바이칼스크 변경주(치타)
연방시: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세바스토폴
자치주: 예브레이[유대인] 자치주(비로디쟌)
참고1: 각 행정구역은 그 행정중심도시와 같은 명칭을 가짐. (예외적인 경우 괄호 안에 행정중심도시의 명칭을 표기)
참고2: 미국은 크림 자치 공화국과 세바스토폴 연방시의 러시아 합병에 대해 인정하지 않음.

독립일

1991년 8월 24일 (소연방으로부터 독립)

국경일

러시아의 날, 6월 12일 (1990년)

헌법

1993년 7월 12일에 초고 작성, 1993 12월 12일에 국민 투표에 의해 채택, 1993년 12월 25일에 효력 발휘, 2008년에 헌법 수정 (2013년)

법률체계

민법체계에 기초. 입법부가 제정한 법령에 따른 사법상의 심리.

투표권

18세 이상. 보통선거

행정부

국가 원수(chief of state):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Vladimir Vladimirovich PUTIN) (2012년 5월 8일부터).
정부 수반(head of government): 총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Dmitriy Anatolyevich MEDVEDEV) (2012년 5월 8일부터).
제1 부총리: 이고르 슈발로프(Igor Ivanovich Shuvalov) ,
부총리: 아카디 드보르비치 (Arkadiy Vladimirovich DVORKOVICH) (2012년 5월 21일부터), 올가 걸러제츠 (Olga Yuryevna GOLODETS) (2012년 5월 21일부터) 알렉산드르 클로포닌 (Aleksandr Gennadiyevich KHLOPONIN) (2010년 1월 19일부터), 드미트리 코작 (Dmitriy Nikolayevich KOZAK) (2008년 10월 14일부터), 드미트리 로고진 (Dmitriy Olegovich ROGOZIN) (2011년 12월 23일부터), 세르게이 프리호드코 (Sergey Eduardovich PRIKHODKO) (2013년 5월 22일부터), 유리 트루트네프 (Yuriy Petrovich TRUTNEV) (2013년 8월 31일부터).
내각: 정부 부처 혹은 "정부"는 총리와 부총리 및 장관, 그리고 지정된 일부 인물로 구성. 모든 구성원은 대통령이 임명.
참고: 대통령을 보좌하여 정책지원기능을 제공하고 대통령령을 입안하며 정부기관 간 정책을 조정하는 대통령부(Presidential Administration: PA)가 존재함. 안보협의회 또한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함.
선거: 대통령 선거는 6년마다 국민투표를 실시(연임 가능). 가장 최근의 선거는 2012년 3월 4일 (다음 선거는 2018년 3월).
참고: 부통령 없음. 대통령이 직무 중 사망하거나 건강상 이유로 권한을 행사하지 못할 경우, 그리고 탄핵을 당하거나 사임했을 경우, 대통령 선거가 새로 실시될 때까지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지만, 3개월 이내로 제한됨. 총리는 두마의 승인을 얻어 대통령이 임명함.
선거결과: 블라디미르 푸틴이 대통령으로 당선 됨- 블라디미르 푸틴 63.7%, 겐나디 쥬가노프 17.2%, 미하일 프로크노로프 8%,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6.2%, 세르게이 미로노프 3.9%, 기타 1.1%,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두마에 의해 총리로 임명- 299표 중 144표 획득.

입법부

상하 양원제의 연방의회(Federalnoye Sobraniye)는 연방회의(The Federation Council 또는 Sovet federatsii, 상원)와 하원에 해당하는 국가두마(Gosudarstvennaya Duma)로 구성됨.
연방회의(상원): 166개 의석으로 구성. 모든 의원은 83개 연방행정단위(주, 변경주, 공화국, 자치관구, 자치주, 그리고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루어지는 연방도시)의 최고행정관료 및 의회관료에 의해 임명됨. 임기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대신 대표되는 지방 기관 (regional bodies)에 의해 결정 됨.
국가두마(하원): 450개 의석으로 구성. 2007년 경우, 모든 의원은 최소 7% 이상 득표한 정당의 명부에서 비례대표제의 방식으로 선출되었음. 두마 의원은 보통선거로 선출되며 4년 임기.
선거: 국가두마 - 가장 최근의 선거는 2011년 12월 4일에 실시 (다음 선거는 2016년 12월)
선거 결과:
국가두마 - 통합러시아당 49.6%, 공산당(CPRF) 19.2%, 자유민주당(LDPR) 11.7%, Just Russia 13.2%, 기타 6.3%.
정당별 총의석 - 통합러시아당 238석, 공산당(CPRF) 92석, 자유민주당(LDPR) 56석, Just Russia 64석

사법부

최고 법원: 러시아 연방 대법원 (23명으로 구성됨), 헌법 재판소 (19명으로 구성됨), 최고중재 재판소 (1명의 위원장과 4명의 부위원장으로 구성됨)
참고: 2014년 1월 법률제정에서 헌법재판소와 최고중재 재판소의 병합 결정을 미결정 함.
임명 및 임기: 모든 러시아의 3개의 최고법원의 재판관들은 대통령의 추천으로 연방 의회에서 종신직으로 임명 됨.
상급 법원: 고등 중재 재판소, 지역(kray) 및 지방(oblast) 법원, 모스크바 및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법원, 자치주 및 지역(district) 법원
참고: 14개의 러시아 공화국은 그들만의 헌법에 의해 특정된 헌법 체계를 갖음.

정당 및 지도자

2014년 1월 78개의 정치 정당이 러시아 법무부에 등록됨. 그러나 오직 4개의 정당만이 러시아 국가 법률을 대표함.
Just Russia(Справедливая Россия: Родина/Пенсионеры/Жизнь) - 세르게이 미로노프
러시아연방공산당(CPRF) - 겐나디 쥬가노프
러시아자유민주당(LDPR) -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통합러시아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정치적 압력단체 및 지도자

전러시아노동총연합(All-Russian Confederation of Labor)
바이칼환경운동(Baikal Environmental Wave)
러시아독립노조연맹(Federation of Independent Labor Unions of Russia)
선택의자유-지역간자동차사용자기구(Freedom of Choice Interregional Organization of Automobilists)
글라스노스트국방재단(Glasnost Defense Foundation)
골로스투표자권리보호협회(Golos Association in Defense of Voters' Rights)
그린피스 러시아(Greenpeace Russia)
인권감시기구(Human Rights Watch, 러시아 지부)
집단행동연구소(Institute for Collective Action)
메모리알(Memorial, 인권기구)
불법이민반대운동(Movement Against Illegal Migration)
팜자트(Pamjat, 역사적 기념물과 역사기록 보존)
러시아정교회(Russian Orthodox Church)
러시아-체첸우호협회(Russian-Chechen Friendship Society)
소바분석-정보센터(SOVA Analytical-Information Center)
군인어머니위원회연합(Union of the Committees of Soldiers' Mothers)
세계야생동물기금(World Wildlife Fund, 러시아 지부)

참여 국제기구

APEC, Arctic Council, ARF, ASEAN (dialogue partner), BIS, BRICS, BSEC, CBSS, CD, CE, CERN (observer), CICA, CIS, CSTO, EAEC, EAPC, EAS, EBRD, FAO, FATF, G-20, GCTU, IAEA, IBRD, ICAO, ICC (national committees), ICRM, IDA, IFC, IFRCS, IHO, ILO, IMF, IMO, IMSO, Interpol, IOC, IOM (observer), IPU, ISO, ITSO, ITU, ITUC (NGOs), LAIA (observer), MIGA, MINURSO, MONUSCO, NSG, OAS (observer), OIC (observer), OPCW, OSCE, Paris Club, PCA, PFP, SCO, UN, UNCTAD, UNESCO, UNHCR, UNIDO, UNISFA, UNMIL, UNMISS, UNOCI, UNSC (permanent), UNTSO, UNWTO, UPU, WCO, WFTU (NGOs), WHO, WIPO, WMO, WTO, ZC

주한 외교대표

재한국공관 대표: 콘스탄틴 브누코프(Konstantin V.Vnukov) 대사
대사관 사무국: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34-16
전화: (02) 318-2116~8
FAX: (02) 754-0417
대표 E-mail : rusemb@uriel.net

주 현지 한국외교대표

재외공관 대표: 위성락 대사 (아르메니아 대사 겸임)
주소: St. Plyushchikha 56 bldg 1, Moscow
사서함: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P/B 18, Moscow 119121
대표전화 : (7-495)783-2727
야간휴일 비상전화 : (7-495)778-0780
기업지원담당관 : (7-495)783-2755
FAX : (7-495)783-2777, (7-495)783-2797
대표 E-Mail : embru@mofa.go.kr
Facebook 주소 : www.facebook.com/KoreanEmbassyInRussia
<주블라디보스톡 총영사관>
주소 : Pologaya St. 19, 690091, Vladivostok, Russia
Tel : (7-4232) 40-2222, 2775, 2779
Fax : (7-4232) 40-1451
<주상트페테르부르그 총영사관>
주소 :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St. Nekrasova 32-a, Saint-Petersburg, Russia
Tel : (7-812) 448-1909(민원실 448-1500)
Fax : (7-812) 448-9668(민원실 448-1501)
<주이르쿠츠크 총영사관>
주소 : 664055, 3rd. Floor, 44, Gegarin Boulevard, Irkustk Russia
Tel : (7-3952-250-301)
Fax : (7-3952-250-303)
<주유즈노사할린스크 출장소>
주소 : 283 Bm Lenin St., Yuzhno-Sakhalinsk, Russia
Tel : (7-4242-462-430)
Fax : (7-4242-462-432)

국기 설명

위로부터 흰색, 파란색, 붉은색으로 된 3색의 띠가 수평으로 균등하게 나뉘어져 있음.

경제 Economy

경제 개관

러시아는 소련연방의 붕괴 이후로, 국제적으로 고립된 중앙 정부 주도 경제체제에서 벗어나, 시장 중심적인 국제적 통합경제 체제로 변화하고 있으나, 여전히 관료에게 부의 집중이 높은, 부분적으로 개혁된 국가 통제주의의 경제체제에서 머무르고 있다. 1990년대의 경제개혁은 방위관련 산업과 에너지 산업의 현저한 예외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산업의 민영화로 이루어졌다. 재산권 보호는 여전히 취약하며, 민간 부문은 여전히 국가의 강력한 간섭이 이뤄지고 있다. 러시아는 전 세계의 석유 및 천연 가스 생산의 선두 생산국 중 하나며, 철강과 기초 알루미늄 같은 금속의 세계 최대의 수출국이다. 러시아의 제조업 부문은 일반적으로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이 없으며, 내수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러시아의 원자재 수출에 대한 의존은 세계 가격의 불안한 변동에 따라 호황과 불황을 반복하는 취약한 산업 구조를 만들고 있다.
석유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던 1998년에서 2008년 동안 평균적으로 7%의 경제 성장률을 나타냈으며, 세계 경제 위기 때인 2008년에서 2009년에는 석유 가격의 급락과 러시아 은행과 기업의 대외 채권 고갈에 따라 경제에 큰 타격을 입었다. 지난 몇 년간 천천히 하락하는 석유 가격과 해외직접투자 유치의 어려움으로 GDP 성장률은 눈에 띄게 둔화되었다.
2013년 후반, 러시아 경제 개발 부처에서는 2030년까지의 러시아 경제전망을 이전에 발표한 년간 4.0~4.2%의 성장률에서 평균 2.5%으로 감축하여 발표했다. 2014년에는 우크라이나에서의 러시아 군대 개입에 따라, 경제성장률은 0에 가까울 정도로 더욱더 낮게 전망되고 있다.

GDP(구매력평가)

2조5천3백30억 달러 (2013년 추정치)

GDP(공식환율)

2조1천1백30억 달러 (2013년 추정치)

GDP(실질성장률)

1.3% (2013년 추정치)

1인당 GDP(구매력평가)

18,100 달러 (2013년 추정치)

GDP-산업부문별 구성

농업: 4.2%
공업: 47.5%
서비스업: 58.3% (2013년 추정치)

노동력

7천5백29만 (2013년 추정치)

노동력-산업별 구성

농업: 9.7%
공업: 27.8%
서비스업: 62.5% (2012년)

실업률

5.8% (2013년 추정치)

빈곤층(빈곤선 이하)

11% (2013년 추정치)

가계소득(소비)의 비중(%)

최저 10% 계층: 5.7%
최고 10% 계층: 42.4% (2011년 추정치)

가계소득격차-지니계수

42 (2012년)

총고정자본투자

GDP 대비 22% (2013년 추정치)

정부예산

세입: 4천3백90억 달러
세출: 4천5백3억 달러 (2013년 추정치)

공적부채

GDP 대비 7.9% (2013년 추정치)

인플레이션율(CPI)

6.8% (2013년 추정치)

중앙은행 할인율

8.25% (2012년 12월 31일 추정치)

상업은행 대출이자율

9.3% (2012년 12월 31일 추정치)

통화량(스톡)

4천5백28억 달러 (2012년 12월 31일 추정치)

준통화량(스톡)

1조6백10억 달러 (2012년 12월 31일 추정치)

국내신용량(스톡)

9천4백70억 달러 (2012년 12월 31일 추정치)

거래주식의 시장가치

8천7백47억 달러 (2012년 12월 31일 추정치)

농업-주요 생산물

곡물, 설탕, 사탕무, 해바라기씨, 야채, 과일. 쇠고기, 우유.

공업

광업과 구리, 석유, 가스, 화학제, 금속제에 대한 체굴 및 제조 산업. 기계 설계(압연기, 고성능 항공기, 우주로켓/발사체). 방위산업(레이더, 미사일 제작, 최신 전자부품, 조선업). 수송장비(도로, 철도). 통신 장비. 농기구, 트랙터, 건설 장비. 전력 생산 및 전송 장비. 의학 및 과학 실험용 기계. 내구 소비재, 직물(織物), 식료품, 수공예품.

공업생산증가율

0.1% (2013년 추정치)

전기-연간생산량

1조5백70억 KWh (2013년 추정치)

전기-연간소비량

1조3백80억 KWh (2013년 추정치)

전기-연간수출량

1백91억4천만 kWh (2012년 추정치)

전기-연간수입량

26억6천1백만 kWh (2012년 추정치)

석유-1일생산량

1천44만 배럴/1일 (2013년 추정치)

석유-1일소비량

3천19만6천 배럴/1일 (2013년 추정치)

석유-수출량

4백72만 배럴/1일 (2013년 추정치)

석유-수입량

16,380 배럴/1일 (2012년 추정치)

석유-확인매장량

8백억 배럴 (2013년 1월 1일 추정치)

천연가스-생산량

6천6백97억 m3 (2013년 추정치)

천연가스-소비량

4천5백72억 m3 (2013년 추정치)

천연가스-수출량

1천9백60억 m3 (2013년 추정치)

천연가스-수입량

3백25억 m3 (2012년 추정치)

천연가스-확인매장량

47조8천억 m3 (2013년 1월1일 추정치)

경상수지

7백48억 달러 (2012년 추정치)

수출-총액

5천1백50억 달러 (2013년 추정치

수출-주요 품목

석유 및 석유제품, 천연가스, 금속, 목재 및 목재품, 화학, 다양한 민수 및 군수 제조품

수출-주요 상대국

네덜란드 14.6%, 중국 6.8%, 독일 6.8%, 이탈리아 6.2%, 터키 5.2%, 우크라이나 5.2%, 벨로루시 4.7% (2012년 추정치)

수입-총액

3천4백10억 달러 (2013년 추정치)

수입-주요 품목

기계류, 자동차, 의약품, 플라스틱, 반가공 금속 제품, 고기류, 과일류 및 견과류, 광학기기 및 의학기기, 철강.

수입-주요 상대국

중국 16.6%, 독일 12.2%, 우크라이나 5.7%, 일본 5%, 미국 4.9%, 프랑스 4.4%, 이탈리아 4.3% (2012년 추정치)

외환보유고(금 포함)

5천1백56억 달러 (2013년 12월 1일 추정치)

대외부채

7천1백42억 달러 (2013년 10월 30일 추정치)

해외직접투자-국내유치

5천5백28억 달러 (2013년 12월 31일 추정치)

해외직접투자-해외진출

4천3백92억 달러 (2013년 12월 31일 추정치)

환율

1달러 당 루블(RUB): 31.82 (2013년 추정치)

통신 Communication

전화 - 사용중인 주 회선수

4,290만 회선 (2012년) 세계 6위

전화 - 이동전화

2억6,190만 대 (2012년) 세계 5위

전화 시스템

전반적 평가: 전화시스템은 중대한 변화를 겪고 있음. 1,000개 이상의 업체가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갖고 있음. 디지털 회선 접근도 특히 도시의 중심지에서 개선되었음. 인터넷과 이메일 서비스도 개선되고 있는 중. 러시아는 시장경제에 필요한 통신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커다란 진척을 보였음. 휴대폰 가입자의 추정수치는 1998년 100만 명 미만에서 2011년 2억 3,500만 명으로 급등. 주요 회선 서비스에 대한 대규모 수요는 충족되지 못하고 있으나, 유선전화 사업자가 계속 서비스를 증가시키고 있음.
국내 전화: 국내의 디지털 주요 회선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하바롭스크로, 그리고 모스크바에서 노보시비르스크로 연결되어 있음. 60개 지역 중심도시의 전화시스템은 현대적인 디지털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 휴대전화 서비스는 많은 지역에서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식 모두 사용 가능. 농촌지역의 전화서비스는 여전히 구식이며 불량하고 보급률이 낮음.
국제 전화: 국가번호 - 7
러시아는 해저 광케이블로 국제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여러 도시에서 디지털 교환기는 국제통화를 위해 50,000회선 이상을 제공. 위성지구국(satellite earth stations)은 Intelsat, Intersputnik, Eutelsat, Inmarsat, and Orbita systems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2011년)

라디오 방송국

가즈프롬이 세번째로 큰 주식 보유사로 두 개의 국영 라디오 방송망을 보유함; 대략 2,400여개의 공영 그리고 민영 방송국들이 존재 (2007).

텔레비전 방송국

6개의 국영 텔레비전 방송국 가운데 연방정부는 첫째와 둘째 방송국의 경영권 행사권을 소유함; 정부 소유의 가즈프롬 사는 세번째 국영 방송국의 경영권 행사권을 보유하고 있음; 정부 산하 은행인 Rossiya는 네번째, 다섯번째 방송국의 경영권 행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여섯번째 방송국은 모스크바 시 행정부가 소유 중임; 대략 3,300개의 국영, 지방, 현지의 방송국들은 2/3 넘게 혹은 거의 연방 정부 혹은 지방정부의 소유임; 위성 TV 서비스 가능

인터넷 국가코드

.ru
참고 - 러시아는 소연방에 배당되어 이제는 점점 사라지고 있는 ".su" 도메인에 대한 관리책임을 갖고 있음.

인터넷 호스트수

1천4백86만5천개 (2012년) 세계 10위

인터넷 사용자수

4천85만3천명 (2009년) 세계 10위

운송 Transport

비행장

1,218개 (2013년) 세계 5위

포장 활주로를 가진 비행장

총: 594개
3,047m 이상: 54개
2,438~3,047m: 197개
1,524~2,437m: 123개
914~1,523m: 95개
914m 미만: 125개 (2013년)

비포장 활주로를 가진 비행장

총: 624개
3,047m 이상: 4개
2,438~3,047m: 13개
1,524~2,437m: 69개
914~1,523m: 81개
914m 미만: 457개 (2013년)

헬리콥터 승강장

49개 (2007년)

파이프라인

콘덴세이트 122km. 가스 163,872km. 액화석유가스(LPG) 1,378km. 석유 80,820km. 석유/가스/물 40km 정제제품 13,658km. 물 23km (2013년)

철도

총연장: 87,157km
광궤(1.520m 궤간): 86,200km (40,300km 전기화)
협궤(1.067m 궤간): 957km (사할린 섬에 부설)
참고: 30,000km의 추가적인 비공용 운송선로가 산업용으로 이용됨 (2006년)

도로

총연장: 1,283,387km
포장: 927,721km (39,143km의 고속도로 포함)
비포장: 355,666km (2012년)

수로

102,000km (확실한 깊이를 가진 48,000km의 수로를 포함)
참고: 유럽-러시아(European Russia)에 속하는 72,000km는 발트해, 백해, 카스피 해, 아조프해 및 흑해로 연결 (2009년) 세계 2위

상용 선박

총: 1,074척
형태별: 벌크운반선 25척, 카고 663척 , 운반선(carrier) 2척, 화학탱커 27척, 광석/석유 콤비네이션 34척, 컨테이너 11척, 여객선 14척, 여객/화물선 7척, 석유탱커 217척, 냉동화물선 59척, roll on/roll off 10척, 특수탱커 5척
외국인 소유: 112척 (벨기에 4척, 키프로스 2척, 독일 1척, 그리스 1척, 이탈리아 4척, 대한민국 1척, 리트비아 2척, 노르웨이 2척, 스위스 3척, 터키 80척, 우크라이나 11척, 미국 1척)
다른 국가에 등록된 것: 486척 (앤티가바부다 4척, 바하마 4척, 벨리즈 31척, 불가리아 1척, 캄보디아 83척, 코모로스 12척, 키프로스 50척, 도미니카 3척, 그루지야 12척, 홍콩 2척, 자메이카 3척, 라이베리아 94척, 말레이시아 2척, 몰타 58척, 마샬군도 9척, 몰도바 3척, 몽골 9척, 파나마 18척, 세인트키츠네비스 19척,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21척, 시에라리온 11척, 슬로바키아 1척, 투발루 2척, 우크라이나 1척, 바누아투 2척, 미확인 31척 (2008년)

항구 및 승선장

아조프(Azov), 칼리닌그라드(Kaliningrad), 카프카스(Kavkaz), 나홋카(Nakhodka), 노보로시스크(Novorossiysk), 프리모르스크(Primorsk), 상트페테르부르크(Saint Petersburg), 보스토치니(Vostochnyy)

군사·국방 Military·Defence

군 구성

지상군(Sukhoputnyye Voyskia, SV), 해군(Voyenno-Morskoy Flot, VMF), 공군(Voyenno-Vozdushniye Sily, VVS)으로 구성. 공중강습부대 (VDV)와 전략로켓부대 (Raketnyye Voyska Strategicheskogo Naznacheniya, RVSN), 그리고 항공우주 방어군 (Voyska Vozdushno-Kosmicheskoy Oborony or Voyska VKO))은 3군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고 각각의 독립된 전투부대로 운영. 러시아 지상군은 다음의 전투부대를 포함: 기계화 보병, 기갑부대, 미사일 및 포병, 방공부대 (2014년)

병역 연령 및 복무기간

18세-27세 사이 징병 및 모병. 남자는 17세에 징병 대상자로 등록.
1년 의무복무(신병은 6개월 훈련 후에 작전 지역에 보내짐). 50세까지 예비군. 16세 이상 사관 학교에 입대, 사관 학교 생도는 군대의 일원으로 분류됨.
참고: 동원 부서의 참모총장은 2013년 5월 건강상의 이유로 2013년 봄 드래프트 캠페인 동안에 징집된 65%만이 군 복무에 적합하다고 발표함. 이들 중 12% 이상이 추가 건강 진단에 보내짐 (2012년 69.9%, 2011년 57.7%가 군 복무에 적합하다고 간주됨). 거의 러시아 징집 대상 남성의 50%가 각 주기마다 합법적으로 일시적 징집 유예를 받음.

군 가용인력

16-49세 남자: 34,765,736명
16-49세 여자: 35,410,779명 (2013년 추정치)

군 적합인력

16-49세 남자: 22,597,728명
16-49세 여자: 23,017,006명 (2013년 추정치)

연간 징병연령 도달 인력

남자: 696,768명
여자: 664,847명 (2013년 추정치)

군사비 지출

GDP 대비 4.47% (2012년)
GDP 대비 4.13% (2011년)
GDP 대비 4.47% (2010년)

국제 이슈 Transnational Issues

국제 분쟁

러시아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경유하여 아프가니스탄에서 파생되는 양귀비 밀수입에 대해서 우려하고 있음. 중국과 러시아는 한때 분쟁 지역이었던 아무르와 우스리의 합류점과 아르군 강에 대해서 그들의 1세기 동안의 국경 분쟁을 끝내는 2004년에 합의한 대로 명확한 한계를 정했음. 에토로푸, 구나시리, 시코탄, 그리고 하보마이 섬 (일본의 북부 지구로 알려져있으며 1945년 소련에 의해 지배되었고 현재 러시아에 의해 관리되며 일본에 의해 주장되는 남부 쿠릴로 알려진)은 러시아와 일본과 평화조약을 하는데 있어서 난제임. 러시아의 군사 지원과 2008년 압하지아와 남오셰티아 독립의 인정은 조지아와의 관계를 원만하지 못하게 함.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그리고 러시아는 등거리에 기초한 카스피 해저의 한계 결정 조약을 승인한 반면 이란은 계속해서 바다의 4분의 1 부분을 주장함. 노르웨이와 러시아는 포괄적인 해안 경계 협약을 2010년에 맺음. 핀란드의 여러 인사들은 세계 제2차대전 이후에 소련에게 양도한 다른 지역과 칼레리아의 반환을 요구함. 그러나 핀란드 정부는 영토 청구는 아니라고 주장함. 러시아와 에스토니아는 2005년 5월 기술적 국경 협약에 서명했음. 그러나 에스토니아 의회가 국내 승인 조항으로 1920년 타르푸 조약 하에서 소련의 점령과 에스토니아의 전쟁 전의 국경에 관해서 전문을 추가함으로써 러시아는 서명을 취소하였음. 러시아는 그 전문은 에스토니아가 미래에 러시아에게 영토 주장을 할 수 있는 것이라 주장함. 반면 에스토니아는 전문은 조약 원문에 법적인 효력을 부가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함. 러시아는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에 거주하는 러시아어를 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더 나은 처우를 요구함. 리투아니아와 러시아는 2003년 5월 러시아가 비준하고 1999년 리투아니아가 비준한 육지와 바다에 관한 조약에 부합하게 그들의 경계를 명확히 하기로 약속했음. 리투아니아는 러시아에 둘러싸여 있는 칼린그라드 해안으로부터 러시아 국민이 여행하는 것에 대해 통행 제도를 간소화 했음. 반면 리투아니아는 엄격한 쉔겐 조약이 적용되는 EU 외부 국경에 대해 EU 회원국으로서 행동함. 우크라이나와의 랜드-바운더리 한계 결정의 준비가 시작됨. 케르치 해엽과 아조브해를 통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분쟁은 현재 러시아가 크림 반도를 점령하면서 중단됨. 카자흐스탄과 러시아의 경계 설정 (boundary delimitation)은 2005년 11월에 비준되었으며 지역 경계 설정 (field delimitation) 은 2007년에 시작되었음. 러시아 두마는 미국과의 1990년 베링 해협 경계선에 대해 아직 비준하지 않았음. 덴마크와 노르웨이는 대륙붕한계위원회 (CLCS) 에 문서를 제출 했고 이에 러시아는 2001년 CLCS에 주장하기 위한 추가적인 자료를 수입하고 있음.

난민 및 이재민

국내 이재민: 적어도 34,900명 (무력 분쟁, 인권 침해, 북 캅카스에 만연한 폭력 (특히 체첸과 남오셰티아) (2013년)
무국적자: 178,000 (2012년)
참고: 러시아의 무국적자는 로마, 메스케티 투르크인, 전 공화국의 구소련 시민들로 구성됨. 2003년과 2010년 사이 600,000명이 넘는 무국적자들이 국적을 취득함. 대부분 메스케티 투르크인, 조지아 출신의 이슬람 신도, 1989년 민족학살(Pogrom) 후에 우즈베키스탄에서 추방되거나 도망친 사람들 그리고 필수적인 5년의 거주기간 이상 러시아에 거주한 사람들임. 그들은 일시적인 불법 이민자라는 이유로 크라스노다르 지방에 의해 시민권 등록을 거부당하고 기본권리를 향유하지 못함.

인신 매매

현황: 러시아는 강제 노동, 성 매매의 대상이 되는 남자, 여자, 아이들의 공급원, 통로 그리고 목적지임. 러시아, 유럽의 다른 국가들, 중앙아시아, 베트남, 북한을 포함한 아시아의 사람들은 러시아의 건설업, 제조업, 농업, 정비 공장 그리고 국내 서비스업과 강제 구걸, 마약 재배의 대상임. 북한 사람들은 강제 노동의 대상임 (보도에 따르면 북한과 러시아는 극동 러시아 목재 산업에 쓰일 인력을 북한이 제공하는 협약을 체결 함). 러시아 여성과 아이들은 러시아, 북아시아, 유럽, 중앙아시아, 중동에서 성 매매 희생자로 보고됨. 반면 유럽, 아프리카 그리고 중앙아시아 국가의 여성들은 러시아에서 성 매매를 강요 받음.
등급평가: 감시 3등급. 러시아는 인신매매 근절의 최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함. 근절을 위한 뚜렷한 노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됨. 따라서 3등급으로 하락. 러시아의 인신매매 문제에 비추어 봤을 때 소추는 적음. 비록 몇몇 희생자들은 일시적 치료를 받지만 정부는 인신매매 희생자들의 신원이나 지원책을 강구하지 않음. 정부는 노동 착취에 취약한 많은 수의 이주 노동자에 대한 신원 확인이나 보호에 관해 최소한의 대책만을 발표함. 또한 노동 착취에 대한 혐의를 조사하지 않음. (2013년)

불법 마약

주로 국내 소비를 위해 불법 마리화나와 양귀비 및 필로폰의 제한적인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음. 정부가 적극적인 불법작물단속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음. 주로 아시아산 아편제, 마리화나 그리고 라틴아메리카산 코카인이 성장하는 국내 시장으로, 더욱 작은 규모이지만 서유럽 및 중부유럽으로, 그리고 이따금 미국으로 반입되는 중간 선적지로 이용되고 있음. 헤로인 화학물질의 주된 공급원. 부패와 조직범죄가 주된 골치거리임. 아편제의 주요 소비국.

글로벌 지표 Global Indicators

체제이행지표(Transition Indicators - EBRD)

대규모 사유화 소규모 사유화 기업 구조조정 가격 자유화 무역 및 외환 시스템 경쟁 정책 은행개혁과 이자율 자유화 증권시장과 비은행 금융기관 구조개혁 전반 통신 철도 전력 도로 상하 수도
1989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NA 1.00 1.00 1.00
199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NA 1.00 1.00 1.67
1991 1.00 1.00 1.00 1.00 1.00 2.00 1.00 1.00 1.00 1.00 NA 1.00 1.00 1.67
1992 2.00 2.00 1.00 3.67 3.00 2.00 1.00 1.00 1.33 1.00 NA 2.00 1.00 1.67
1993 3.00 3.00 1.00 3.67 3.00 2.00 1.00 1.67 1.33 1.00 NA 2.00 1.00 1.67
1994 3.00 3.00 1.67 3.67 3.00 2.00 2.00 1.67 1.67 2.33 NA 2.00 1.00 1.67
1995 3.00 4.00 2.00 3.67 3.00 2.00 2.00 2.00 1.67 2.33 NA 2.00 1.00 1.67
1996 3.00 4.00 2.00 3.67 4.00 2.00 2.00 3.00 2.00 2.67 NA 2.00 1.67 1.67
1997 3.33 4.00 2.00 3.67 4.00 2.33 2.33 3.00 2.00 2.67 NA 2.00 2.00 2.00
1998 3.33 4.00 2.00 3.33 2.33 2.33 2.00 1.67 2.00 3.00 2.33 2.00 2.00 2.00
1999 3.33 4.00 1.67 3.33 2.33 2.33 1.67 1.67 2.33 3.00 2.33 2.00 2.00 2.33
2000 3.33 4.00 2.00 4.00 2.33 2.33 1.67 1.67 2.33 3.00 2.33 2.00 2.00 2.33
2001 3.33 4.00 2.33 4.00 2.67 2.33 1.67 1.67 2.33 3.00 2.33 2.00 2.00 2.33
2002 3.33 4.00 2.33 4.00 3.00 2.33 2.00 2.33 2.33 3.00 2.33 2.33 2.33 2.33
2003 3.33 4.00 2.33 4.00 3.33 2.33 2.00 2.67 2.33 3.00 2.33 3.00 2.33 2.33
2004 3.33 4.00 2.33 4.00 3.33 2.33 2.00 2.67 2.67 3.00 2.67 3.00 2.33 2.33
2005 3.00 4.00 2.33 4.00 3.33 2.33 2.33 2.67 2.67 3.00 2.67 3.00 2.33 2.33
2006 3.00 4.00 2.33 4.00 3.33 2.33 2.67 3.00 2.67 3.00 2.67 3.00 2.33 2.33
2007 3.00 4.00 2.33 4.00 3.33 2.33 2.67 3.00 2.67 3.00 3.00 3.00 2.33 2.33
2008 3.00 4.00 2.33 4.00 3.33 2.33 2.67 3.00 2.67 3.33 3.00 3.33 2.33 2.67
참고: 체제이행지표의 각 점수는 5점을 만점으로 하여 1점에서 4점대로 주어지며 특정 국가의 체제이행 진척도에 대한 EBRD의 평가를 반영한다. 해당 분야별로 각 점수의 구체적 의미는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4점 이상일 경우 해당 분야의 체제이행이 충분히 진척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 Index - Transparency International)

종합 지수
OVERALL INDEX
하위 지수
SUBINDEXES
기본적 요건
Basic requirements
효율성 제고
Efficiency enhancers
혁신 요소
Innovation factors
연도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점수
2001-2002년
2002-2003년
2003-2004년
2004-2005년
2005-2006년
2006-2007년
2007-2008년 58위(131) 4.19 68위 4.36 48위 4.19 77위 3.50
2008-2009년 51위(134) 4.31 56위 4.54 50위 4.29 73위 3.56
참고: 괄호 내 숫자는 평가대상 국가 수

언론자유도(Freedom of the Press - Freedom House)

연도 국가 순위 평가대상 국가 수 CPI 점수 표준편차 신뢰구간 조사 횟수
1995년 - 41개국 - - - -
1996년 47위 54개국 2.58 0.94 - 5
1997년 49위 52개국 2.27 0.87 - 6
1998년 76위 85개국 2.4 0.9 - 10
1999년 82위 99개국 2.4 1.0 - 13
2000년 82위 90개국 2.1 1.1 0.6 - 4.1 10
2001년 79위 91개국 2.3 1.2 0.3 - 4.2 10
2002년 71위 102개국 2.7 1.0 1.5 - 5.0 12
2003년 86위 133개국 2.7 0.8 1.4 - 4.9 16
2004년 90위 146개국 2.8 - 2.5 - 3.1 15
2005년 126위 159개국 2.4 - 2.3 - 2.6 12
2006년 121위 163개국 2.5 - 2.3 - 2.7 8
2007년 143위 180개국 2.3 - 2.1 - 2.6 8
2008년 147위 180개국 2.1 0.6 1.9 - 2.5 8
참고: 부패인식지수(CPI)는 1에서 10의 값을 가지며, 값이 클수록 부패도가 낮고 투명도가 높음.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 Index - Transparency International)

상태
Status
법적 환경
Legal Environ.
정치적 환경
Political Environ.
경제적 환경
Economic Environ.
총점
Total Score
2007년 부자유(Not Free) 18점 33점 24점 75점
2008년 부자유(Not Free) 21점 33점 24점 78점
참고: 100점 만점에 점수가 낮을수록 언론자유가 더욱 높은 국가임. 평가기준 및 부문별 비중은 다음과 같음.
  • - 상태: 자유 (0–30점) / 부분적 자유 (31–60점) / 부자유 (61–100점)
  • - 법적 환경: 0–30점
  • - 정치적 환경: 0–40점
  • - 경제적 환경: 0–30점
  • - 총점: 0–10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