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발간도서

본 기사 번역 제공은 <한양대학교 HK 러시아 유라시아 연구사업단>이 러시아 및 유라시아 지역의 주요 헤드라인 뉴스들을 정리, 번역하여 매주 국가별로 원문과 함께 제공하는 ‘주간뉴스 번역서비스’이다. 2010년 7월 20일 제 1호가 나온 이후 지금에 이르며, 본 기사번역 제공서비스가 포괄하는 국가에는 러시아연방을 비롯하여,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몰도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조지아 등 12개 국가이다. 이들 12개국에서 벌어지는 생생한 최신뉴스를 엄선하여 번역하고 원문링크와 함께 배포하는 본 서비스는 이제 관련 전문가들은 물론이고, 학생들에게도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지난 1990년 「월간북방동향」으로 창간하여 1997년 「아태지역동향」으로 제호를 변경한 이래 2006년 2월호까지 발간되었다. 본지는 월간 발행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게재되는 내용은 본 아태지역연구센터에서 매월 개최하고 있는 중국, 러시아, 북한, 미국, 일본 5개국의 정치/경제/사회 동향 및 초점분석에 대한 월례보고회의 결과물들이다.

『JAPA(Journal of Asia-Pacific Affairs』는 본 연구센터의 확대개편에 따라 연구영역의 확장을 꾀하고자 발간된 영문 학술잡지로서 지난 1999년 8월 창간호가 발행되었다. 본 학술잡지는 연 2회 발행되어 아시아-태평양지역 주요 국가들에 대한 연구성과를 게재하였는데, 2006년 7월호(v.7, n.7) 이후 발간이 중단되었다.

「亞太쟁점과 연구」 (Contemporary Asia-Pacific Studies)는 월간 「아태지역동향」을 확대, 발전시켜 2006년 4월에 그 창간호가 나온 계간지이다. 본 연구지는 아태지역연구센터의 내 · 외부 연구진들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안 쟁점들을 논의하는 워크숍에서 발표된 연구논문 working paper를 묶어 계간으로 발간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2007년 겨울 (제 2권, 4호, 통권 8호)를 마지막으로 발간이 중단되었다.

제목

해체와 노스탤지어 :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와 소비에트 유산

작성일
2012.06.07
저자
기계형 외
출판사
한국학술정보(주)
쪽수
503
발행일
2012년 2월 29일
목차
서문
제1부 담론
Ⅰ. 김현택,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 문화와 민족정체성
Ⅱ. 오원교, 포스트소비에트 시대의 유라시아주의와 동양
Ⅲ. 이문영, 지구지역적 현상으로서 노스탤지어 -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의 과거 활용

제2부 문학
Ⅳ. 박미령, 타티야나 톨스타야의 『키시(Кысь)』의 신화적 상상력 -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 신화를 중심으로
Ⅴ. 윤영순, 우리 시대의 고전, 복제와 재생의 미학 - 소로킨의 창작을 중심으로
Ⅵ. 이은경, 빅토르 펠레빈의 『P세대(Generatioin П)에 나타난 문화영웅으로서의 ‘신러시아인’과 민족정체성
Ⅶ. 이항재, 현대 러시아 여성소설의 ‘체르누하’ - L. 페트루셰프스카야의 중․단편을 중심으로

제3부 예술
Ⅷ. 기계형, 포스트소비에트 시대의 러시아영화에 나타난 역사적 재현의 문제들
Ⅸ. 김성일, 포스트소비에트 시대 러시아 전쟁영화의 특징
Ⅹ. 김수환, 알렉세이 우치텔의 영화 <우주를 꿈꾸며> - 해빙기를 향한 향수 혹은 쓰디쓴 냉소
Ⅺ. 박영은, 디지털 게임 서사 모드로 구축된 현대 러시아의 정체성 모색 - 티무르 베크맘베토프의 워치 시리즈를 중심으로
Ⅻ. 이지연,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정체성과 새로운 모스크바 공간의 탄생
ⅩⅢ. 조유선,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서구 뮤지컬의 수용과 그 명암
내용
이 책은 담론, 미디어, 문학, 영화, 건축, 뮤지컬 등의 다양한 분야에 걸친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의 현재적 흐름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자, 이에 근거 한 현대 러시아 문화의 미래적 향방에 대한 총체적인 전망이다. 소비에트 시대가 종말을 고한 이후 지난 20년간 포스트소비에트 시대의 러시아 문화는 혼란에서 좌절, 좌절에서 환멸 그리고 다시 환멸에서 기대 등이 점철된 대단히 복잡하고도 역동적인 행로를 밟아왔다. 유구한 역사가 말해주듯이 러시 아 문화는 때로는 쉽사리 가늠하기 어려울 지라도 언제나 뚜렷이 실체를 간직하고 자신의 고유한 길을 걸어왔다. 해체/복원, 파괴/건설, 부정/긍정, 망 각/기억, 탈신화화/재신화화 등의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진화는 그 자체로 또 다른 러시아의 길의 추구이자 현대 러시아의 자기 좌표의 모색이다. 러시아 문화에서 현재적 양상의 복잡다기함만큼이나 미래적 전망은 결코 간단치 않다. 질서와 안정에 대한 대중적 희구와 권위와 지 배를 향한 권력의 야욕이 함께 빚어내는 소비에트적 과거의 노스탤지어적 소환은 당분간 지속될 여지가 적지 않지만 최근 러시아 시민 사회가 보여주는 자유와 정의에 대한 진지한 갈망은 인본주의적 가치를 지향하는 진정으로 러시아적인 문화의 도래에 대한 기대를 품게 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번 공동 연구의 경험과 성과가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의 현재를 보다 넓고 깊게 이해하고 미래를 올바르게 전망하는 데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저자약력
기계형(Ki Kye Hyeong)
김성일(Kim Sung IL)
김수환(Kim Soo Whan)
김현택(Kim Hyun Taek)
박미령(Park Mee Ryoung)
박영은(Park Young Eun)
오원교(Oh Won Kyo)
윤영순(Yoon Young Sun)
이문영(Lee Moon Young)
이은경(Yi Eun Kyung)
이지연(Lee Ji Yeon)
이항재(Lee Hang Jae)
조유선(Cho You Seon)
표지 이미지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